프로젝트 배포용 빌드하기
1) Version
, Build
버전 수정하기
- 구글스토어와 마찬가지로 version은 개발자 내부로 맞추면 되지만, build는 무조건 이전 버전보다 높아야함.

앱 버전 관리 관련 이슈 히스토리 ㅋㅋ

xcode 설정을 바꾸면 알아서 Info.plist에도 반영되어 앱이 빌드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는데,
작업자가 버전 관리를 할 줄 몰라서 하드코딩으로 바꿔놨었다.

info.plist를 다시 프로젝트 값을 참조하도록 수정해서 해결했다.
2) APS Environment 값을 production으로 변경
- development → production으로 변경

3) Release 모드로 변경


4) 물리기기로 설정하고 빌드 ㄱㄱ
안해도 되네!!
5) 아카이브
물리기기로의 빌드를 성공적으로 마쳤다면
Xcode
-Product
-Archive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아카이브 후에는 아래 그림처럼
Distribute App
버튼을 통해 AppStore Connect 등에 업로드할 수 있다.

환경이 여러개이고, 원하는 환경이 있다면
edit scheme
에서 Archive
란에서 설정을 바꾼 후 Archive 해야 한다.6) Validate App & Distribute App
5)번의 그림에서 앱 검증 후 배포 버튼을 눌러 아래의 4가지 중에 본인에게 적합한 배포를 진행한다.




TestFlight Internal Only로 배포한 경우에는 위와 같이 “내부” 태그가 붙으며,
이 빌드는 심사를 거치지 않고, 따라서 공개테스트나 릴리즈 용도로 활용할 수 없다.
7) 업로드 형태
AppStore Connect에 업로드 할 건지, 업로딩 없이 export만 할 건지 선택할 수 있다.

8) .ipa파일 export
업로드를 선택했더라도, 완료 후에 export 버튼을 통해 export도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