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aside>
는 본문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가적인 정보나 참고자료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주로
사이드바
,call-out boxes
등에 사용됨.
이거 참고자료야 ㅇㅋ?
메인콘텐츠의 내용과 직접연관 있는 내용은 아니야.
라고 주로
스크린 리더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구분함.장점
- 코드 가독성: 구조가 명확하고 논리적이어서 다른 개발자도 쉽게 이해.
- 접근성(Accessibility): 스크린 리더가 사이드바와 내부 콘텐츠를 정확히 구분.
-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이 페이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음.
언제 <aside>
를 사용할까?
- 블로그 글/뉴스 아티클
- 본문 옆에 관련 정보(통계, 링크, 추가 설명)를 배치하고 싶을 때.
- 사용자 안내
- 부가적인 참고 자료나 노트를 표시할 때.
- 광고/홍보 배너
- 페이지 레이아웃의 사이드바에 배치되는 광고는 흔히
<aside>
로 감싼다.
예시1 - 사이드바
사이드바도 한 페이지의 구성요소다.
하지만 블로그 글을 보는 사람 입장에서 사이드바는 부가정보다.
- 컨테이너가 되는
sidebar
컴포넌트 자체를aside
태그로 감싸서 부가정보임을 표시하고,
- 그 안의 내용들은 적절히
섹션
을 나눠서 정리한다.
<aside class="sidebar"> <!-- 카테고리 목록 --> <section> <h2>Categories</h2> <ul> <li><a href="#">HTML</a></li> <li><a href="#">CSS</a></li> <li><a href="#">JavaScript</a></li> </ul> </section> <!-- 방문자 수 --> <section> <h2>Visitor Count</h2> <p>Today: 567</p> <p>Total: 12,345</p> </section> <!-- 인기 글 --> <section> <h2>Popular Posts</h2> <ul> <li><a href="#">How to Learn HTML</a></li> <li><a href="#">Top CSS Tips</a></li> </ul> </section> </aside>
예시 - 부가정보
<article> <p> The Disney movie <cite>The Little Mermaid</cite> was first released to theatres in 1989. </p> <aside> <p>The movie earned $87 million during its initial release.</p> </aside> <p>More info about the movie…</p> </article>
- 영화의 흥행 수익은 본문의 핵심 주제(영화의 출시일)와는 관련이 없지만, 영화에 대한 참고자료로 추가된 정보다.
<aside>
태그를 사용함으로써, "이건 본문과 직접 관련된 내용은 아니야"라는 걸 브라우저와 사용자(특히스크린 리더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