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근성을 고려한 타이포그래피
Typeface (글꼴)
- 일반적인 글꼴 사용:
Arial
,Times New Roman
, Calibri, Verdana와 같은 보편적인 글꼴을 사용하면 읽기 속도가 빨라지고 이해도가 높아짐.
- 복잡한 글꼴 피하기: 너무 화려하거나 손글씨 스타일의 글꼴, 한 가지 문자 케이스(대문자만)만 제공하는 글꼴은 피해야 함.
- 문자 식별성 중요: "I"와 "l", "1" 등과 같은 글자는 헷갈릴 수 있으므로 글자의 차이를 명확하게 설정해야 함.
- 커닝(글자 간격): 너무 좁은 글자 간격은 읽기 어려움. 예: "rn"이 “m”으로 읽힐 수 있는 등
글꼴 크기와 스타일
- 상대적인 글꼴 크기 사용:
%
나rem
,em
등의 단위로 크기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글꼴 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해야 함.px
은 고정된 크기이므로 사용자가 확대해도 크기가 변하지 않음. 따라서 지양하기.
<!-- bad --> h2 {font-size: 16px;} <!-- good --> h2 {font-size: 1rem;}
- 과도한 글꼴 변형 피하기: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서체(글꼴) 변형의 사용을 제한해야 한다.
- 자제하기 :
- 색상 변화, 굵게(Bold), 대문자(ALL CAPS), 기울임꼴(Italics) 등의 사용 최소화
- 사용하기 :
- 별표(*)(asterisks), 대시(-)(dashes), 특정 단어를 강조 표시(하이라이팅)
- 이미지 텍스트 사용 자제: 화면 리더가 이미지에 삽입된 텍스트를 읽지 못하므로, 이미지에 텍스트를 넣는 대신 HTML 텍스트를 사용해야 함.
구조와 레이아웃
단순한 레이아웃
복잡한 레이아웃은 시각적 장애, 읽기 장애, ADHD를 가진 사용자에게 방해가 될 수 있음.
명확한 그룹화와 구분: 비슷한 요소를 함께 묶고, 중요한 요소는 서로 구분되도록 배치.

글자 간격:
- 문단, 문장, 단어 간의 간격을 넉넉하게 하여 읽기 쉽게 만듦.
- 너무 긴 줄은 읽기 어렵기 때문에 짧은 줄을 사용.


정렬:
- 텍스트의 정렬은 왼쪽 정렬이 가장 가독성이 좋으며,
- 양쪽정렬은 피해야 함. 공백이 고르지 않으면 읽기 어려워질 수 있고, 단어들이 비정상적으로 뭉쳐지거나 늘어나게 되어, 단어 경계를 인식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

다행히도, 텍스트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간격과 관련된 명확한 지침들이 있습니다.
- 좋은 줄 간격(Good Line-Height)
- 황금 비율 계산기(Golden Ratio Calculator)와 같은 도구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지침들을 적용하면 주의력 결핍, 읽기 장애, 시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레이아웃보다는 텍스트 내용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가 있습니다.
구조와 레이아웃의 모범 사례
- 머리글, 하위 제목, 목록 등을 사용하여 페이지를 구분하고 구조를 명확하게 만듦.
- 문단 간 간격과 단어 간 간격을 적절히 설정.
- 한 줄의 너비를 80자 이하로 제한(logograms은 40자 이하).
- 너무 긴 줄이 한 화면에 들어가면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
- 정렬을
왼쪽 정렬
로 설정하여 rivers of space(불규칙한 공백)을 피함. - 단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거나 눈에 띄게 넓은 간격이 생겨서 텍스트의 흐름이 부자연스럽게 보일 때
결론
- 접근 가능한 타이포그래피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디자인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사용자의 가독성과 이해를 돕기 위해 타이포그래피에 신경을 쓰면 더 많은 사람들이 명확하게 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