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색상과 대조
디지털 접근성에서
색상(color)
과 대비(contrast)
는 사용자들이 화면을 읽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색상과 명도 대비의 중요성
✅ 화면을 읽기 어려운 경험
- 특정 색상 조합이 가독성을 떨어뜨릴 수 있음
- 밝거나 어두운 환경에서 화면을 보기 어려운 경우 발생
- 색각 이상(약 3억 명) 또는 저시력(약 2억 5,300만 명) 사용자들에게 더 큰 문제
✅ 디자이너 & 개발자가 알아야 할 점
- 색상과 대비가 어떻게 인식되는지 이해해야 함
- 일시적, 상황적, 영구적인 시각적 어려움을 고려
- 보다 접근성 높은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
🎨 이 모듈에서는 접근 가능한 색상 및 명도 대비의 기본 개념을 소개합니다.
1. 색상 인식
- 색상: 색상은 빛의 파장이 반사되는 방식에 의해 결정됩니다. 인간의 눈은 이 파장을 받아들이고 색으로 변환합니다.
- HSL 모델: 색상의 색조(Hue), 채도(Saturation), 명도(Lightness)로 설명됩니다. 이 모델은 사람이 색을 인식하는 방식에 더 가까운 방식으로 색을 표현합니다.
- 색조(Hue): 색상의 종류 (예: 빨강, 초록, 파랑).
- 0~360 사이의 스펙트럼 내의 특정 숫자를 지님 (red: 0, green: 120, blue: 240)
- 채도(Saturation): 색의 강도
- 0%~100% 사이의 퍼센트 값. (100% : very vivid, 0%: grayscale)
- 명도(Lightness): 색의 밝기
- 0%~100% 사이의 퍼센트 값. (0% : black, 100%: white)



2. 색상 대비 측정
다양한 시각 장애가 있는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 WAI 그룹은 텍스트와 배경 사이에 충분한 대비가 존재하도록 색상 대비 수식을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색상 대비율
을 따르면 시력이 약간 저하된 사용자는 대비 향상 보조 기술(AT) 없이도 배경의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먼저 색맹들의 시선을 알아보자

색상 대비율 계산
색상 대비 공식은 색상의 상대 휘도(relative luminance)(0: darkest black, 1: lightest white)를 사용하여 대비를 결정하고, 비율이 클수록 대비가 강합니다.
대비는 1~21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이 수식은
[color value]:1
로 줄여서 표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예를 들어 순수한 검은색과 순수한 흰색의 색상 대비율은
21:1
로 가장 큽니다.
최소 요구 사항: 색상에 관한 최소 WCAG 요구사항을 통과하려면
- 일반 텍스트는 4.5:1 이상의 대비 비율이 필요.
- 큰 텍스트와 필수 아이콘의 색상 대비율은 3:1 여야 한다.
- 대형 텍스트는 bold 18pt/24px 이상 또는 regular 14pt/18.5px 이상 되어야 함.
- 로고와 장식 요소는 제외됨.
색상 대비 계산 도구: 수학과 수식에 대해 알 필요 없이 도구를 활용하자.
3. 색상 사용
- 색상만으로 정보를 전달하면 색맹을 가진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그래프, 차트, 표 에서 색상만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 예를 들어, "녹색 버튼을 클릭하여 계속 진행하세요"라는 지시만 주면 색맹 사용자는 어느 버튼을 클릭해야 할지 모를 수 있습니다.
- 패턴, 텍스트, 아이콘 등의 추가 식별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디지털 제품을
그레이 스케일
로 검토하면 잠재적인 색상 문제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전색맹 기준으로 바라보고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개선해야 함)
색상을 구분할 수 없더라도, 패턴과 텍스트 설명을 통해 위 그래프를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이 없었다면 전색맹이 경우에는 그래프를 읽을 수 없었을 것이다.
4. 미디어 쿼리
사용자에게 화면에 표시되는 항목을 더 세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미디어 쿼리를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디어 쿼리는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지원되고 있습니다.
예시)
- @prefers-color-scheme: 사용자에게 어두운 테마 또는 밝은 테마를 선택할 수 있게 합니다.
- 광선공포증 또는 광과민성이 있는 사용자는 다크모드를 사용할 수 있음.
- @prefers-contrast: 사용자가 고대비 모드를 활성화하면, 그에 맞는 디자인을 제공합니다.
- 색상 결핍 및 대비 민감도가 있는 사용자를 위해 고대비 테마를 빌드할 수 있음.
- 이 두 가지 미디어 쿼리를 조합하여 더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결론
디자인이나 개발 시 색상과 대비를 고려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시각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색상만으로 정보를 전달하지 않고, 다른 시각적 식별 요소를 추가하는 것이 접근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