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냥 빌드된 apk 혹은 aab 파일을 드래그앤 드롭 하면 알아서 테스트 진행하고 스크린샷, 영상, 에러 소스 경로 등을 기록해서 알려준다.
로그인 등 특정 id, pw 기입이 필요한 경우 사전설정으로 resource id와 입력할 텍스트를 기입할 수 있다.
또는 android studio로 앱을 열어서 Tools-Firebase → Test Lab-RoboRecord를 통해 행위를 레코드하고 그 결과로 나온 .json 파일을 사전 설정 파일로 올려도 된다.
리소스 아이디 지정 (지원안함)
- 테스트 랩의 사전 설정 파일에서 특정 리소스에 입력값 혹은 클릭을 요구할 수 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리소스 아이디가 필요하다.
- 하지만 react-native에서는 resource-id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Text testID="btnText" //works for iOS accessibilityLabel="btnText" //works for android & iOS content-description accessible > {text} </Text>
웹뷰
현재 파이어베이스 테스트랩에서는 웹뷰의 테스트는 지원하지 않는 듯 하나, html의 id element로 입력값을 지정할 수 있다는 말도 있긴 하다. (조사 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