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조사 (프리다이빙)

마지막 날짜
Jan 11, 2025 08:02 AM
Created time
Sep 26, 2020 07:42 AM
Tags
담당자

사전 지식

준비사항

  • 이퀄라이징
    • 발살바 (배에 있는 공기를 이용해서 귀의 평행을 유지함)
      • level2(초급) 까지는 이걸로 해결됨
    • 프렌젤 (얼굴 안에 있는 공기만 이용해서 평행을 맞춤), 도구가 따로 있음 (비쌈, 잘안씀)
      • level3 부터 필수
    • 타고난 사람 (아무것도 안해도 알아서 맞춰짐)
    • 피로에 따라서 달라짐
  • 복식호흡
    • 4초 마시고 8초 내뱉기
 

금지사항

  • 과호흡 (복식호흡을 잘못하게 되면 숨 참는 시간은 늘어나지만, 기절하는 시간은 동일하므로 나오면서 기절함)
  • 블랙아웃(BO) - 기절
 
 

 
자격증 있는 사람 2명 필수
or
강사랑 같이
notion image
PADI가 가입자 수 제일 많음 (스킨스쿠버(산소통)랑 연계됨), 제일 유명함(네임드)
CMAS가 가장 오래된 곳 (하는 곳 거의 없음. 고인물, 자격증 관리도 불편함, 교육시스템도 옛날꺼)
AIDA (프리다이빙만 함, 교육시스템 옛날꺼, 자격증 조건 까다로움, 유일한 비영리단체)
SSI (교육시스템 잘 돼있음, 자격증 관리 편함)
Ssi는 강사등급이 훨신 세분화 되있어 타 단체 대비 강사 과정 취득이 쉽다
 

장비

  • 강사 자체 준비
  • 수영장 대여
  • 업체 대여
 

자격증 종류

1 - 2 - 3 -4 - 강사

level 1

5~10m 내외
숨 1분~1분30초 (안보는 곳도 있음)
5m 미만 수영장만 가능 (바다 X)
1레벨 필요 요소
  • 지식 (필기시험)
  • 깊이
  • 숨 참고 가는 거리 (다이나믹 dyn)
  • 숨 참는 시간 (static)

level2

숨 1분30초~2분30초
 

목표(강사)

강사 업계의 불문율/타 강사님한테 배웠을 그 강사님 한테서 장비를 사도록 추천하며 교육도 한 강사님한테서 마무리 짓도록 한다.
 
강사 자격을 연회비랑 1년에 한명 정도 자격증을 발급해야 하며 연회비가 밀린다던지 수강생이 없는 상황이 2년 정도 유지 되면 강사 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들어야 한다.
*단체마다 차이가 있음

접근

  • 탈잉
  • 네이버 (지도 등록 지점)
  • 소모임

수입원

  • 체험
  • 교육
  • 자격증
  • 장비판매 (중간마진)
  • 여행 (강사의 주수입, 강사가 여행 코스부터 일정까지 다 예약하고 강사가 같이감)
    • 여행은 인원당 고정 가격
 

목표(소비자)

정보전달

  • 프리다이빙 방법
  • 자격증 취득 금액
  • 자격증 종류
  • 시간
  • 장소 (어디서 할 수 있는지) —> 검색 필터링
    • 위치
    • 필요 자격증
    • 깊이
    • 입장료 금액
    • 이용 시간
  • 준비물 (프리다이빙)
    • 대여
      • 슈트
      • 스노쿨 & 마스크
      • 오리발
        • 숏핀 (초보자가 움직이기 편함)
        • 롱핀 (프리다이빙 필수, 요령 없으면 어려움)
          • 플라스틱 (제일 싸고 관리도 편함, 10만원대)
          • 유리섬유 (20~40만원대) - 대여불가
          • 카본 (70~80만원대) - 대여불가
    • 수영복
    • 수영모
    • 수건
    • 갈아입을 옷
 

개발 요소

  • 자격증 연계
  • 커뮤니티
    • 사진공유 (주간 베스트 사진)
    • 영상공유 (주간 베스트 영상)
    • 모이는 사람
    • 인스타 감성, 셀카충
  • 장소 예약
  • 가격 정렬
  • 가격은 강사가 정함
  • 인원수도 강사가 정함
  • 리뷰
  • 강사 추천도
  • 강사 프로필
  • 중고거래 ( 시계 등 장비 )
  • 필기시험 모바일에서 온라인으로 (문제 출제원이랑 상의 필요)
    • 수업 늘릴 수 있음 (3시간 정도 소요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