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세팅

설명
Tags
 

nestjs/cli 설치

$ npm i -g @nestjs/cli
yarn으로 해도 되는데, yarn으로 했을 떄 문제가 있었어서 npm으로 하는 것을 추천했음. (니꼴라스)
 
nest 쳤을 때 아래와 같이 나온다면 설치 잘 된 것!
notion image

프로젝트 생성

$ nest new project-name
 
package manager도 선택 가능
package manager도 선택 가능
 

프로젝트 실행

# package.json 참고 ... "start": "nest start", "start:dev": "nest start --watch", "start:debug": "nest start --debug --watch", "start:prod": "node dist/main", ...
# dev용으로 실행하기 $ yarn start:dev # --watch 때문에 변경사항이 있을 떄 서버를 다시 시작해준다.

localhost:3000

localhost:3000에 접속해보면, 잘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notion image
notion image
 

 

어플리케이션 생성

# 프로젝트 nest g application npm install npm run start:dev # localhost:3000 가보면 helloworld 뜨면 잘 된 것. # 깃 설정 git init vscode에서 gitignore extention으로 node에 대한 gitignore 파일을 추가한다 # 그렇지 않으면 node_modules도 다 포함되므로 파일체인지가 엄청 많음. 파일변화 목록이 16개 정도이면 설정 완료 깃 업로드는 알아서 하자
설정
 

린트 추가 설정

notion image
nest.js 에선 설명하는 용도로 인자를 저런 식으로 많이 활용한다.
하지만 실제로 사용되진 않는 인자이므로 린트에서 에러 처리를 한다.
 
물론 사용되지 않는 것은 제거되는 것이 좋으므로 린트가 잡아주는 게 좋지만, 저렇게 의도적으로 명시할 땐 남겨두고 싶다.
그렇다고 매번 예외문구를 추가하는 것도 번거롭다.
 
그러면 resolver.ts 등 특정 파일 정의 시에만 이런 방식으로 활용을 하고 있으므로, 린트 설정에 예외를 두면 된다.
notion image
overrides: [ { files: ['**/*.resolver.ts', '**/*.entity.ts'], rules: { '@typescript-eslint/no-unused-vars': 'off', }, }, ],
 
notion image
린트가 잡던 에러가 resolver.ts 파일들에겐 예외가 적용되어 뜨지 않는다.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