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stash

부가 설명
작업물 임시저장 ( 작업도중, 급하게 다른 작업 해야할 때 유용 )
Tags
stash

git stash

작업 내용을 임시저장 할 수 있다.

명령어

# 임시 저장 내역 $ git stash list # 임시 저장 save는 생략 가능 $ git add . # 현재까지의 작업사항을 스테이징함 $ git stash (save) # 스테이징 파일들을 임시저장함. # 가장 최근의 임시 저장 내역 삭제 $ git stash drop # 특정 stash 내역을 지목하여 삭제 $ git stash drop stash@{번호} # 가장 최근의 임시 저장 내역 복원하며, 임시저장 내역은 삭제 $ git stash pop # 가장 최근의 임시 저장 내역 복원하며, 임시저장 내역은 그대로 둠 $ git stash apply

예시 상황

  1. dev에서 checkout해서 branch A에서 작업하던 중 급하게 dev에 반영해야 하는 일이 생긴 경우. branch A의 작업은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한 상황. 커밋하기엔 아깝고 테스트도 더 필요하다면?
notion image

해결방법

  1. branch A에서 작업하던 현재 작업 내역git stash를 통해 임시저장한다.
  1. git checkout 하여 branch B의 작업을 처리한다.
  1. 다시 branch A로 돌아와서 git stash pop을 통해 기존 작업 내역을 복원한다.
  1. branch A의 작업을 이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