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에서 바로 쓰는 Frontend Clean Code

Tags
토스
Property
발표자
진유림

실무에서 바로 쓰는 Frontend Clean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만들기 위해 염두해야 하는 점과 예시를 설명한다.
 

1. 실무에서 클린 코드의 의의

💡
실무에서 클린코드의 의의 = 유지보수 시간의 단축
그 코드는 안 건드리시는 게 좋을 거에요. 일단 제가 만질게요.^^;;
  • 흐름 파악이 어렵고
  • 도메인 맥락 표현이 안 되어
  • 동료에게 물어봐야만 알 수 있는 코드
 
개발자의 자기만족도 외에 클린코드를 짜야하는 이유는 뭘까?
하지 않으면,
  • 개발할 때 병목이 되고
  • 유지보수에 시간이 오래 걸리며
  • 성능에도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다.
한다면,
  • 깔끔한 코드는 코드 리뷰 시간도 단축시킨다.
  • 버그가 났을 때 디버깅 시간도 단축시킨다.
💡
시간 = 자원 = 돈
 
시작부터 코드가 더럽진 않다.
하지만 대부분의 업무 비율은 남이 짜거나 내가 짠 코드를 유지보수 하는 일이다.
 

예시1. 기존 팝업에 내용 추가

notion image
보험에 대한 질문을 등록하는데, 설계사가 있는 경우에는 설계사 사진이 들어간 팝업을 먼저 띄워달라는 기능 추가 건
 
 
 

2. 안일한 코드 추가의 함정

 

3. 로직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코드

 

4. 액션 아이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