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pre><var><kbd><samp>

설명
code - 코드 pre - 여러줄, 공백포함 var - 변수 특별하게, kbd - 사용자가 눌러야 하는 키입력 표시 samp - 출력 샘플 제공
Primary
content category
phrasing
flow
이런게 있다고 기억만 하고있으면 됨.
전부 특별하게 표현하는 것은 동일하므로, 용도별로 묶어서 일괄로 스타일 관리할 수 있겠구나 정도만 기억하면 됨.
 
HTML 을 이용해 컴퓨터 코드를 나타낼 때 아래와 같은 많은 요소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ode>: 일반적인 컴퓨터 코드를 표시합니다. (일반적으로 한줄을 의미)
    • 여러줄의 코드를 쓰려면 pre로 감싸서 사용.
  • <pre>: 공백(일반적으로 코드 블록)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텍스트 내에서 들여 쓰기 또는 초과 공백을 사용하면 브라우저가 이를 무시하고 렌더링 된 페이지에 공백을 표시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pre></pre> 태그로 텍스트를 감싸면 공백이 텍스트 편집기에서 보는 것과 동일하게 렌더링 됩니다.
    • 💡
      prettier로 들여쓰기 된 부분까지 표현돼서 좀 불편함...
  • <var>:
    • 수학적 표현식이나 프로그래밍 컨텍스트에서 변수의 이름 표시
    • notion image
  • <kbd>:
    • 사용자에게 키보드 입력을 통해 특정 키를 눌러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싶을 때
    • notion image
  • <samp>(sample output): 컴퓨터 프로그램의 출력 샘플을 표시합니다.
    • notion image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 <title>night-ohl title test</title> </head> <body> <pre><code> var para = document.querySelector('p'); para.onclick = function() { alert('Owww, stop poking me!'); } </code></pre> <p> You shouldn't use presentational elements like <code>&lt;font&gt;</code> and <code>&lt;center&gt;</code>. </p> <p> In the above JavaScript example, <var>para</var> represents a paragraph element. </p> <p> Select all the text with <kbd>Ctrl</kbd>/<kbd>Cmd</kbd> + <kbd>A</kbd>. </p> <pre>$ <kbd>ping mozilla.org</kbd> <samp>PING mozilla.org (63.245.215.20): 56 data bytes 64 bytes from 63.245.215.20: icmp_seq=0 ttl=40 time=158.233 ms</samp></pre> </body> </html>
notion image